티스토리 뷰
전에는 진료나 치료를 신분증이 없어도 본인확인만 하면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었는데요.
5월 20일 부터 신분증이 있어야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분증 왜 사용하나?
건강 보험 자격이 없는데 부정수급을 하거나 타인명의로 의약품을 확보하기 위해 건강보험증을 대여나 도용하는 사례가 있어, 국회가 지난해 주민등록증이나 건강보험증을 확인하지 않은 요양기관에 100만원이하 과태료를 부과하는 국민건강보험법 개정안을 통과 시켰습니다.
본인 확인 하는 방법은?
본인 확인 하는 방법으로
- 신분증
- 주민등록등본
- 운전면허증
- 건강보험증
- 여권
- 모바일 건강보험증 등이 있습니다.
실물카드가 없는 경우에 어플로 확인되는 방법도 있으니 미리 발급하시는게 좋겠습니다.
본인 확인 예외도 있나?
19세 미만, 응급환자들은 주민등록번호로 본인을 확인합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1. 구글플레이 스토어나 앱스토어에 접속해줍니다.
2.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검색하고 설치 합니다.
3. '개인입니까?'를 선택하고 다음페이지에서 한번 더 확인을 눌러줍니다.
4. 언어는 그대로 한국어를 선택합니다.
5. 개인정보 보호 내용 3페이지를 읽고 확인을 눌러줍니다.
6. 얼굴인식 Face-ID를 사용하려면 확인을 눌러줍니다.
7. 서비스 이용을 위해 최초1회 본인 인증이 필요하며 본의명의 기기로 인증을 합니다.
8. 본인인증 방법 휴대폰인증이나 금융인증서 인증을 선택합니다.
9. 휴대폰 인증으로 누르니 밑에 화면이 나왔습니다. 휴대폰 본인확인 버튼을 눌러 진행합니다.
10. 본인인증이 끝났습니다.
11. 사용할 비밀번호 4자리를 눌러주고
12. 생체인증으로 로그인하고 싶다면 등록 후 사용하면 됩니다.
13.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이 완료되었습니다.
실물 신분증이 없을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